「무소유」
“나는 가난한 탁발승이오. 내가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교도소에서 쓰던 밥그릇과 염소젖 한 깡통, 허름한 담요 여섯 장과 수건, 그리고 대단치도 않은 평판 이것뿐이오” 마하트마 간디가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 마르세유 세관원에게 소지품을 내 보이면서 한 말이다.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내가 가진 것이 너무 많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들 때문에 적잖이 미음이 쓰이게 된다.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맨다.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만큼 많이 얽혀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닌다.
나는 온몸으로 그리고 마음속으로 절절히 느끼게 되었다. 집착이 괴로움인 것을. 이때부터 나는 하루 한 가지씩 버려야 겠다고 스스로 다짐을 했다. 소유욕은 이해와 정비례한다. 그것은 개인뿐 아니라 국가간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만약 인간의 역사가 소유사에서 무소유사로 그 방향을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
주지 못해 싸운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소유 관념이 때로는 우리들의 눈을 멀게 한다. 그래서 자기 분수까지도 돌볼 새 없이 들뜬다. 그러나 우리는 빈손으로 돌아갈 것이다. 내 육신마저 버리고 훌훌히 떠나갈 것이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된다는 것은, 무소유의 또 다른 의미이다.
- 법정